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연습생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어 파이썬 언어를 통해 티스토리 API를 사용하여 자동 업로드를 구현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https://codingman.tistory.com/147?category=762038

 

[Python] 티스토리 API 사용을 위한 Access_token 구하기

안녕하세요 코딩연습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파이썬 언어를 통해 티스토리 API를 사용하여 자동 업로드를 구현해 볼려고 합니다 구현에 앞서 몇가지 준비사항들이 필요한데 1. Token 키를 알아야

codingman.tistory.com

저번 포스팅에서 티스토리 API 사용시 꼭 필요한 Access_Token을 얻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번에는 이어서 글을 올리고자 하는 카테고리 ID를 취득하는 방법을 작성해 보도록 할께요

 

이번 포스팅은 파이썬 환경에서 동작합니다

 

제가 사용한 파이썬의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 동작 환경

   1) Python 3.6

   2) requests

   3) webbrowser

   4) json

 

저는 example.py라는 파일을 하나 만들고

 

제일 상단에 다음과 같이 패키지를 선언해줬습니다

 

아래 패키지 목록중 settings는 경로를 지정해놓은 별도 py 파일이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 coding=utf-8
from PIL import Image, ImageDraw, ImageFont
import textwrap
import requests
import webbrowser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import os
from pandas import DataFrame
import settings
import time
import json

 

다음 하단에 전 포스팅에서 얻은 정보를 셋팅해 줄겁니다

 

# client_id  == app_id
client_id = ""
# client_secret = Secret_Key
Secret_Key = ""
# code 는 access_token 을 받기 위한 중간 인증코드, 한시간 내 한번만 사용됨.
code = ""
# access_token 최종인증키 유효기간동안 사용가능
access_token = ""

# 티스토리 주소의 아이디나 전체주소
blog_name = "codingman.tistory.com"

# 콜백주소는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를 사용해도 되고, 끝에 /는 넣지 않는다.
redirect_uri = "http://codingman.tistory.com"
state_param = "bm"  # 임의의 문자열
output_type = "json"

requests_headers = {  # 없어도 동작됨
    "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71.0.3578.98 Safari/537.36"
}

 

소스코드가 이해가 안되실거 같아서 빨간색으로 표기된 영역에 알맞은 정보 값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설명은 주석으로 작성되어 있으니 어렵지 않으실거 같습니다

 

이제 파이썬의 코드를 클래스로 만들기 위해 구조를 먼저 선언하겠습니다

 

class message_write: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 먼저 코드를 생성하고,
        if not code:
            auth_url = f'https://www.tistory.com/oauth/authorize?client_id={client_id}&redirect_uri={redirect_uri}&response_type=code&state={state_param}'
            webbrowser.open(auth_url)
            print('주소창에서 코드 값을 복사하세요. ?code= 이하')
            # r = requests.get(auth_url)
            # print(r.text)

        # 이후에 액세스 토큰을 받아야 한다. 이게 좀 귀찮고 낮설다.
        if code and (not access_token):
            print('acess token 시도중...')
            token_url = f'https://www.tistory.com/oauth/access_token?client_id={client_id}&client_secret={Secret_Key}&redirect_uri={redirect_uri}&code={code}&grant_type=authorization_code'
            r = requests.get(token_url)
            print(r.text)

        self.get_write()
 
 if __name__ == "__main__":
    # 실행
    message_write()
    #get_category()
    #get_write()

 

이렇게 message_write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모듈별 실행을 위해 __main__을 잡으주고  py파일 제일 먼저 실행될 부분인 __init__에 다음과 같이 코딩해 줍니다

 

다음 각각의 정보를 확인하는 모듈을 넣어볼께요

 

현재 나의 블로그의 정보를 확인하는 모듈입니다

 

    def get_info(self):
        info_url = f'https://www.tistory.com/apis/blog/info?access_token={access_token}&output={output_type}'
        r = requests.get(info_url, headers=requests_headers)
        print(r.text)
        return r.text

 

너무 정보가 뒤죽박죽 나와서 그냥 쉽게 블로그에 대한 속성 값이 나옵니다

 

두번째는 게시된 포스팅글에 대한 속성 값을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def get_list(self, page_number):
        url = f'https://www.tistory.com/apis/post/list?access_token={access_token}&output={output_type}&blogName={blog_name}&page={page_number}'
        r = requests.get(url, headers=requests_headers)
        print(r.text)
        return r.text

 

세번째 블로그의 카테고리 ID를 조회 하는 방법입니다

 

    def get_category(self):
        url = f'https://www.tistory.com/apis/category/list?access_token={access_token}&output={output_type}&blogName={blog_name}'
        r = requests.get(url, headers=requests_headers)
        r = r.json()['tistory']['item']['categories']
        for i in r:
            print(f'{i["name"]} ({i["id"]})')
        return r

 

카테고리 명과 (ID) 값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 나의 블로그의 속성을 확인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확인한 카테고리 ID를 가지고 글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다음시간에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 현재 개발 중인 주식 분석 프로그램 실행 결과 값입니다

  이 자료는 주식 투자 목적이 아닌 프로그램 분석율 계산을 위한 값이므로 절대 신뢰하지 마세요

  (이자료를 통한 투자 손해에 대해 필자는 배상하지 않습니다)

 

※ 프로그램 테스트 중이라 결과값이 정리가 잘 안되어 있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2021-01-12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포스팅한 자료 입니다)

 

▣2021-01-12_급등 주가 리스트

 

▣2021-01-12_매수 예상 종목

    (프로그램 입장에서 현재 매수 포인트라고 생각하는 리스트 입니다)

 

▣ 관심 주가별 예상 종가 리스트

    (필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테스트해본결과 100%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위의 관심 주가 리스트는 2021-01-12 10:23:01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 입니다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값을 티스토리에 자동 포스팅 동작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 현재 개발 중인 주식 분석 프로그램 실행 결과 값입니다

  이 자료는 주식 투자 목적이 아닌 프로그램 분석율 계산을 위한 값이므로 절대 신뢰하지 마세요

  (이자료를 통한 투자 손해에 대해 필자는 배상하지 않습니다)

 

※ 프로그램 테스트 중이라 결과값이 정리가 잘 안되어 있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2021-01-11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포스팅한 자료 입니다)

 

▣2021-01-11_급등 주가 리스트

 

▣2021-01-11_매수 예상 종목

    (프로그램 입장에서 현재 매수 포인트라고 생각하는 리스트 입니다)

 

▣ 관심 주가별 예상 종가 리스트

    (필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테스트해본결과 100%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위의 관심 주가 리스트는 2021-01-11 18:28:12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 입니다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값을 티스토리에 자동 포스팅 동작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연습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파이썬 언어를 통해 티스토리 API를 사용하여 자동 업로드를 구현해 볼려고 합니다

 

구현에 앞서 몇가지 준비사항들이 필요한데

 

1. Token 키를 알아야 합니다(이번 포스팅 내용)

2. 글을 올리려고 하시는 카테고리 ID를 알아야 합니다

3. 파일 첨부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그러면 시작해 보도록 할께요

 

1. token 키를 확인하기

https://www.tistory.com/guide/api/manage/register

 

TISTORY

나를 표현하는 블로그를 만들어보세요.

www.tistory.com

위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빨간색으로 표기된 부분을 모두 작성합니다

 

서비스명 : 블로그명을 입력합니다

서비스URL : 블로그 전체 주소를 입력합니다

서비스형태 : 웹서비스

서비스권한 : 읽기.쓰기

CallBack :  서비스 URL와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그 다음 등록을 눌러주세요

 

등록이 완료가 되면 앱 관리 메뉴로 들어가서 상세 내용을 확인 합니다

앱 관리 -> 등록된 서비스명의 설정을 클릭

 

설정 메뉴에서 다음 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App ID, Secret Key

 

AppID와 Secret Key를 알았다면 익스플로러를 실행해서 다음 주소를 입력 합니다

 

https://www.tistory.com/oauth/authorize?client_id={AppID}&redirect_uri={서비스URL}&response_type=code&state=someValue

AppID와 서비스URL은 설정화면에 있는 정보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위의 URL을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됩니다

 

이런 창이 드시면 허가하기를 눌러줍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위의 url 주소 중 아래 빨간색 영역으로 표기된 부분을 잘 복사해 줍니다

 

 

code 값을 얻으셨다면 이제 마지막 단계만 하시면 Access Token을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www.tistory.com/oauth/access_token?client_id={AppID}&client_secret={SecretKey}&redirect_uri={서비스URL}&code=코드&grant_type=authorization_code

 

해당 주소를 익스플로러에 입력해주시고 디버깅 모드를 여시면 아래와 같이 Access_token을 얻으실수 있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이번에 얻은 Access_token을 사용하여 파이썬으로 카테고리 ID를 확인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 현재 개발 중인 주식 분석 프로그램 실행 결과 값입니다

  이 자료는 주식 투자 목적이 아닌 프로그램 분석율 계산을 위한 값이므로 절대 신뢰하지 마세요

  (이자료를 통한 투자 손해에 대해 필자는 배상하지 않습니다)

 

※ 프로그램 테스트 중이라 결과값이 정리가 잘 안되어 있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2021-01-11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포스팅한 자료 입니다)

 

▣2021-01-11_관심 주가 리스트

 

▣2021-01-11_매수 예상 종목

    (프로그램 입장에서 현재 매수 포인트라고 생각하는 리스트 입니다)

 

 

▣ 관심 주가별 예상 종가 리스트

    (필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테스트해본결과 100%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위의 관심 주가 리스트는 2021-01-11 13:39:03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 입니다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값을 티스토리에 자동 포스팅 동작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 현재 개발 중인 주식 분석 프로그램 실행 결과 값입니다

  이 자료는 주식 투자 목적이 아닌 프로그램 분석율 계산을 위한 값이므로 절대 신뢰하지 마세요

  (이자료를 통한 투자 손해에 대해 필자는 배상하지 않습니다)

 

※ 프로그램 테스트 중이라 결과값이 정리가 잘 안되어 있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2021.01.05 코넥스 주가 제외)

 

▣ 2021.01.05_관심 주가 리스트

    1. 294870 : HDC 현대 산업 개발
    2. 096770 : SK이노베이션
    3. 024070 : WISCOM
    4. 006390 : 한일현대시멘트
    5. 017800 : 현대엘리베이
    6. 051390 : YW
    7. 260660 : 알리코제약
    8. 080580 : 오킨스전자
    9. 014190 : 원익큐브
   10. 082270 : 젬백스
   11. 026150 : 특수건설

 

▣ 관심 주가별 예상 종가 리스트

    (필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테스트해본결과 100%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현재 프로그램을 많이 수정중이라 수동으로 글을 작성하다 보니 시점을 많이 늦는거 같습니다

 

위의 관심 주가 리스트는 2021.01.05 PM 19:30분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 입니다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값을 티스토리에 자동 포스팅 되도록 구현 중입니다~

 

조금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연습생입니다

 

얼마전 티비를 보았는데 요즘 주식 시장이 워낙 좋아 주식하면 무조껀 돈을 번다는 얘길하는것을 봤습니다

(저도 말도 안되는 X소리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문득 주식이란걸 해보지 않았던 저도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프로그램으로 딥러닝 LSTM을 이용한 주식을 분석해서 투자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면

 

나도 주식을 좀 해볼수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알고리즘을 정리하고 구조를 짜보기로 했습니다

 

우선 알고리즘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개발 착수...

============================================================================현재 2020.12 드디어 어는 정도 윤곽이 나타났다

 

파이썬을 통한 트롤링으로 정보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정보를 CSV 형태로 만들수 있었다

 

============================================================================

2020.12.23 CSV파일을 이용한 가상 모의 투자 구현..

 

 

이제 승률이 계산된다...하지만 어디까지 믿을수 있는 정보인지 확인이 되지 않는다..

 

몇개의 테스트 주가 정보를 모니터링해서 믿을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을 해야 할거 같다

 

2020.12.24 관심 종목으로 8개의 종목이 나왔지만

 

그중 관심이 가는 항목은 두개 였다

 

첫번재는. 수정(084180) 기계 장치 만드는 회사 인거 같은데 왜 관심 종목에 올라온것일까

 

두번째는. 녹십자홀딩스(005250) 관심 종목이면서 종가 정보가 56,000을 예상한다

 

============================================================================

2020.12.31

 

모니터링 중이던 수정과 녹십자홀딩스가 상한가를 친다..

 

그런데 언제 하한을 칠지 아무도 모른다...현재 시점으로 텐서거 찍어준 시점에 들어갔다면..

 

수성은 10%, 녹십자홀딩스는 30%로의 상한 수익을 봤을거 같다

 

위험요소의 알고리즘을 좀 더 보안하고 사용하면 그래도 좀 믿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지 않을까 싶다

 

============================================================================

2021.01.04

 

프로그램을 통해 일일 다음날 예상 주가 정보를 블로그에 포스팅할 예정이다

 

물론 직접 투자 목적은 아니다

 

프로그램 안정성, 신뢰성, 뭐 이런걸 확인하기 위한 증거 자료일뿐...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연습생 입니다!! 

 

 

옛날에 사용하던 델파이ㅋㅋ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언어이죠(?) 아닌가?ㅎㅎㅎ

 

아무튼 저는 정말 옛날 옛적에 접해 봤던 기억이 있는데요

 

사람의 머리는 참 정직한거 같아요...새로운 것이 들어오면 기존걸 삭제하는...ㅋㅋㅋ

 

저만 그런건 아니겠죠?ㅎ

 

현재는 실질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언어지만 언젠가 필요할수 있고

 

우리같은 블로거들에게는 정보가 다이기 때문에 기록 차원에서 예전 정리 자료를 포스팅 합니다

 

1. dpr(Delphi project)

   - 프로젝트 파일 이라고 부르며 여러 개의 pas 파일과 dfm 파일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2. dpg(Delphi project group)

   - 프로젝트 그룹 파일 이라고 부르며 여러 개의 프로젝트 파일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러개의 프로젝트 파일을 관리할 때 사용하는 파일이다

 

3. pas(pascal)

  - 유닛 파일이라고 부르며 하나의 폼에서 실행되는 처리 코드를 저장하는 텍스트 파일이다

 

4. dfm(Delphi form)

  - 폼 파일이라고 부르며 하나의 폼에 관련된 모든 속성을 저장하는 텍스트 파일이다

5. dsk(델파이 환경설정 파일)

  - dpr 파일과 파일명이 같으며 해당 프로그램의 환경설정 내용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삭제하더라도 프로그램 컴파일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파일이다

 

6. dpk(Delphi package - 델파이 패키지 파일)

   - 델파이 패키지 파일로 컴포넌트 소스인 .pas(유닛파일)를 하나도 합쳐 패키지로 만든 파일이다

     델파이에 컴포넌트를 쉽게 추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패키지 파일이다

 

7. dll(Dynamic link library -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 자조 사용하는 함수는 공유 파일 이진 파일로 만든다

 

8. dcu

   - 델파이의 소스를 컴파일해서 생기는 object파일 이진 파일이다

 

9. exe

   - 델파이의 object파일을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든 것이다

 

10. RES

   - 컴파일 된 이진 리소스 파일

 

11. bpl(Borland package library - 델파이 패키지 라이브러리)

   - 볼랜드 패키지 라이브러리 파일이며 다이나믹 링크 라이브러리(DLL) 파일과 비슷하지만

     bpl은 볼랜드 제품에서만 호환되며 dll은 MS 제품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 델파이 확장자별 구조 정리를 해봤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